본문바로가기

서구 구청장실

비상2년, 비전2년 한눈에 보는 서구

CMS 등록 필요

찾아가는 행복 플러스 사업

소외계층에 직접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힘쓰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복지사각지대 발굴 128% 증가(1,028건→2,343건)
  • 긴급지원 8.5% 증가(2,959건→3,212건)
  •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
  • 인프라 3개동 구축
  • 미세먼지배출사업장 배출량 13% 감소(발전소 등 6개소)
  • 친환경 청소차 35.7% 증가(17대)
  • 친환경 관용차 15% 증가(50대)
  • 의료급여지원대상자 34.4% 증가(8,476→11,396명)
  •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· 방과후활동 서비스 도입
  • 주간22명, 방과후 35명
앞으로 2년
  • 복지사각지대 20% 추가 발굴(2,811건)
  • 긴급지원 20% 추가 확대(3,855건)
  •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
  • 인프라 22개동 확대
  • 다문화가족 맞춤형 지원사업 12개 확대
  • 노인맞춤 돌봄대상장 88% 확대(1,366명)
  • 독거노인 주거환경개선사업 20세대 추가 확대
  • 의료급여지원대상자 62% 증대(13,638명)
  •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· 방과후활동 서비스 확대
  • 주간30명, 방과후 45명(25% 증가)

일 더 모아(The-more) 행복드림

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통해 주민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노인일자리 40% 증가(3,321명→4,660명)
  • 장애인일자리 37.5% 증가(88명→121명)
  • 자활사업일자리 77.6% 증가(260명→462명)
  • 신중년 일자리 발굴 37명
  • 청년 일자리 284명, 창업공간 2개소 지원
  • 맞춤형 취업자 240%증가(3,163명→10,777명)
앞으로 2년
  • 노인일자리 50% 확대(5,000명)
  • 장애인일자리 64% 증가(145명)
  • 자활사업일자리 88% 증가(554명)
  • 신중년 일자리 사업 확대 90명
  • 청년 일자리 320명, 창업공간 4개소 확대 지원
  • 맞춤형 취업자 13,402명 확대

복지인프라 확충

사회적 약자들의 환경개선을 위한 인프라를 확대해 따뜻한 복지를 실현하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구립 경로당 1개소 확대(30개소)
  •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개관
  • 검단노인복지관 개관
  • 장애인주간보호센터
  • 1개소 신규 설치(4개소)
앞으로 2년
  • 구립 경로당 3개소 추가 확대(33개소)
  • 개방형 테마 경로당 1개소 추가 신설
  • 장애인·비장애인 통합 프로그램 개발·도입
  • 장애인주간보호센터
  • 2개소 추가 설치(6개소)
  • 해피로드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개소

  • 구립 경로당 설치

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확대
40%증가 노인일자리 / 37.5%증가 장애인 일자리 / 77.6%증가 자활사업일자리

(임신·출산기) 맘(Mom) 편한 임신·출산 지원

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 아이 낳고 싶은 도시로 만들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출산 · 입양 축하금 2,839명 지원
  • 산후조리비 2,698명 지원
  • 아빠육아휴직 장려금 226명 지원
  • 저소득 복지대상자 출산축하용품비 27명 지원
앞으로 2년
  • 출산 · 입양축하금 11,400명 지원 확대
  • 산후조리비 11,400명 지원 확대
  • 아빠육아휴직 장려금 820명 지원 확대
  • 저소득 복지대상자 출산축하용품비 80명 지원 확대
출산가정 경제적 부담 감소 추진
맘(mom)편한 임신출산지원 - 저소득복지대상자 출산축하용품비 지원(1인30만원) / 산후조리비 지원(1인 50만원) / 출산입양축하금 지원(첫째아 50만원 둘째아 100만원 셋째아 200만원 넷째아 300만원) / 아빠 육아휴직장려금(월 50만원, 최대 150만원)
국공립어린이집 확대 설치!
2018년 180개소 > 2020년 27개소

(영·유아기) 안심 보육·건강한 성장지원

아이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도록 공공보육 인프라를 확충하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국공립어린이집 50% 확대(18개소→27개소)
  • 공익형어린이집 4배 확대(25개소→106개소)
  • 거점형 어린이집 10개소 지정운영
  • 아이사랑꿈터 1개소 설치
  • 아동수당 지급대상자(27,862명)
  •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아동수 25%증가
  • (614명→765명)
  • 아이돌보미 26% 확보(198명→249명)
앞으로 2년
  • 국공립어린이집 50% 추가 확대(50개소)
  • 공익형어린이집 50% 추가 확대(160개소)
  • 어린이집별 공동보육커뮤니티 추진
  • 아이사랑꿈터 11개소 확대 설치
  • 아동수당 지급대상자 19% 확대(33,200명)
  • 장난감무상수리센터 1개소 설치
  •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아동수 30% 확대(800명)
  • 아이돌보미 31% 확대(260명)

(초등기) 촘촘한 돌봄·꿈을 키우는 교육 지원

아이와 부모가 함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마을학교 2개소 신설운영
  • 마을교육활동가 35명 양성
  • 다함께 돌봄센터 1개소 신규설치
  • 아동권리 교육인원 3배 증가 (1,800명→5,734명)
  • 아동이 주인공인 행복한 축제 개최
    (10,000명 참여)
  • 아동 구정참여 2배 증가(157명→323명)
앞으로 2년
  • 마을학교 10개소 확대
  • 마을교육활동가 50명 양성 심화교육
  • 다함께 돌봄센터 5개소 추가 설치
  • 아동권리 교육 인원 6,500명 확대
  • 아동이 주인공인 행복한 축제 활성화
    (11,000명 참여)
  • 아동 구정참여 400명 확대

(중·고등기) 소통과 토론

미래인재육성을 위한 교육실현
‘아이와 부모가 행복한 교육혁신도시를 만들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무상교복 20,921명 지원
  • 관내 도서관 9개소 설치(총 80개소)
  • 가좌청소년문화의집 개관
  • 청소년 수련시설 4개소 운영
  • 서구 평생학습관 개관(56개 강좌 운영)
  • 4차산업 특성화 메이커스 LAB 설치
앞으로 2년
  • 무상교복 지원 지속 실시
  • 공공도서관 3개소 추가 건립
  • 청라권역 청소년문화의 집 추가 조성
  • 평생학습관 교육 참여인원 20% 확대
  • 관내 청소년 4차산업 특성화 교육
  • 참여기회 확대 - 미래 인재 양성 도모

문화체육 인프라 확충

생활 속에서 높은 수준의 문화체육을 향유할 수 있도록 문화도시 서구 만들기에 주력하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전문 공연시설 확충 기반 마련
  • 거점별 생활문화센터
    조성 추진
  • 문화충전소 7개소 지정 및 운영
  • 정서진 드론페스티벌 개최
  • 청라 커넬웨이 얼음썰매장 운영 (18,000명 이용)
  • 복합문화체육센터 3개소 건립 추진
  • 다목적 소규모 체육관 2개소 건립 추진
  • 북청라대교하부체육시설 준공(20.6월)
앞으로 2년
  • 청라블루노바홀 개관(20년 하반기)
  • 생활문화센터 지정(건립)
    (20년 2개소, 21년 3개소, 22년 5개소)
  • 문화충전소 100개소 지정 확대
  • 4차산업 대표축제 육성
  • 스케이트장 및 썰매장 확대 운영 (30,000명 목표)
  • 복합문화체육센터 3개소 개관(22년)
  • 소규모 체육관 2개소 개관(21년)
  • 문화도시 지정

생활문화체육 인프라 구축

  • 가좌국민체육센터(가좌 S&C 플랫폼)

  • 블로문화체육센터 (S링크 불로힐링체육관)

  • 원당문화체육센터(The Frame)

  • 청라커넬웨이 얼음썰매장 운영

대한민국 최고의 치매관리도시

확실한 치매예방부터 촘촘한 치매돌봄까지 치매일류서구를 만들겠습니다.

지난 2년
  • 치매환자 등록관리율 47%달성(2,498명)
  • 치매조기진단검사 인원 140%향상
    (244명→586명)
  • 16개 기관 민·관 네트워크 구축
  • 치매안심 행복마을 1개 동 운영
  •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20%향상(240-288명)
  • 치매예방프로그램 참여연인원 20% 향상
    (7,005명 → 8,406명)
앞으로 2년
  • 치매환자 등록관리율 55%달성(2,952명)
  • 치매조기진단검사 인원 4배 확대
    (1,046명)
  • 25개 기관 민·관 네트워크 구축
  • 치매안심 행복마을 4개 동 운영 확대
  •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44% 확대(346명)
  • 치매예방프로그램 참여연인원 3배 확대
    (21,600명)

서구치매안샘센터

  • 전국 최대규모 직영센터

  • 치매전문인력 33명

치매관리 민·관 업무협약

자료관리담당자

  • 담당부서 :  
  • 담당팀 :  
  • 전화 :  

콘텐츠 만족도

결과보기

  • CMS 등록 필요(http://www.seo.incheon.kr) 바로가기 QR코드
  •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.

    이 QR CODE는 "CMS 등록 필요" 페이지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.

  •